* 정구(鄭逑) * (1543~1620)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 본관은 청주이다.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이자 판서 정사중(鄭思中)의 아들이다.
7세때 ‘논어‘와 ‘대학’을 배워 대의를 통했고, 오건(吳健)이 성주향교로 부임하자
그 문하생에 되어 ‘주역’등을 배웠다.
1563년(명종 18)에 남명 조식과 퇴계 이황에게 성리학을 수학했다.
*생애
한강은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학문에 정진하던 중 1573년(선조 6)
동강 김우옹의 추천으로 예빈시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으며,
여러 지방 수령에 제수됐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후 1580년(선조 13)에 비로소 창녕현감으로 부임하면서 관직에 나아가
1584년 동복 현감을 역임하고, 1585년 교정청(校正廳) 교정랑에 임명돼
‘경서훈해(經書訓解)’를 교정했다. 1591년 통천 군수를 지내던 중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각지에 격문을 보내 의병을 일으키게 했다.
1594년부터 우승지, 강원도 관찰사, 성천 부사, 충주 목사, 공조 참판 등을 역임했으며,
광해군 즉위년(1608) 대사헌이 되었으나 임해군(臨海君)의 옥사가 일어나자 낙향했다.
1613년 계축옥사가 일어나자 영창대군을 구하기 위해 상소했고
그 후 벼슬을 단념하고 후학양성에 전념했다.
사후에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목(文穆)’의 시호가 내렸다.
* 한강의 학문과 저술
한강의 학문은 성리학과 예학뿐만 아니라 제자백가․역사․산수․병진(兵陳)․의약(醫藥)․
복서(卜筮)․풍수지리 등 여러 방면에 걸쳐 박학했다.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어
‘가례집람보주(家禮輯覽補註)’ ‘오선생예설분류(五先生禮說分類)’
‘심의제조법(深衣製造法)’ ‘예기상례분류(禮記喪禮分類)’
‘오복연혁도(五福沿革圖)’ ‘계상제례문답(溪喪祭禮問答)’ 등 많은 예서를 편찬했다.
이 같은 저술을 통해 정구는
“예는 가깝고 먼 것을 정하고, 믿고 못 믿음을 결정하고, 같고 다름을 구별하고,
옳고 그름을 밝히는 기준이다”라고 밝혔다. 또 성리학적인 부분에서 한강은
퇴계의 영향을 제일 많이 받아 경전 가운데 특히 ‘심경(心經)’을 중시했다.
한강은 외출할 때에도 심경을 손에서 떼지 않았으며 아침․저녁으로 읽고,
제자를 가르치는 주된 교재로 사용했다. 그 결과 경사상(敬思想)을 토대로 해
이황의 ‘심경후론(心經後論)’을 수정 보완한 그의 탁월한 성리학 부분 대표작인
‘심경발휘(心經發揮)’를 편찬했다.
정구는 지방목민관으로 출사하면서 선정을 베풀었을 뿐만 아니라
부임한 고을의 읍지편찬에 독보적 경지를 개척하는 업적을 쌓았다.
그는 1580년 창산지(창녕) 편찬을 필두로 동복지(화순), 함주지(함안), 통천지(통천),
임영지(강릉), 관동지(강원도), 충원지(충주, 미완성), 복주지(안동) 등의 8개 읍지를
편찬했다. 이렇게 부임하는 고을마다 읍지 편찬에 관심을 보인 것은 지방통치자가
그 지방의 지리, 풍속, 인물, 역사, 산업 등 그 지방의 사정을 모르고는
백성을 옳게 다스릴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가 편찬한 많은 읍지는 전란으로 거의 전해지지 않고 있으나
함안의 읍지인 함주지는 16세기에 편찬한 지방읍지로 유일하게 남아있다.
◆후대의 영향
한강 정구는 오건․퇴계․남명의 문하를 차례로 출입하면서 학문을 닦았고,
광해군 초 정인홍과의 절교로 퇴계학파에 편향되었다. 조목(趙穆)․ 김성일(金誠一)․
류성룡(柳成龍) 등 퇴계의 중요 제자들보다 가장 늦게까지 생존해 많은 제자들을
거느릴 수 있었다. 경상좌․우도의 중앙인 성주에 거주해
퇴계․남명 양 학파를 융합하는 새로운 기점을 마련했다.
특히 17세기 전반 성주일대는 한강과 여헌 장현광에 의해 소위
‘한려학파(寒旅學派)’가 형성됐고, 이들은 퇴계 이후 뚜렷한 학문적 구심점을
찾지 못하고 있던 안동권을 대신해 영남의 학문적 분위기를 주도했다.
정구는 서울 출신의 허후(許厚)․허목(許穆) 등을 제자로 둔 것으로 보아
그의 학통은 영남의 장현광과 근기지방의 허목으로 계승되어 갔다.
또 영남학파의 양대 산맥인 퇴계․남명학파를 통합해 성주․안동에서
경주권으로 확대되어 갔으며. 서울근교를 기반으로 하는 근기학파를 확립시켜
실학의 연원을 확립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게 했다.
--------------------------------(다른 이야기)------------------------
도동 서원은 영남 예학을 대표하는 한강(寒岡) 정구(鄭逑)선생의 주도로 건립되었다.
정구 선생 호(號)를 한강(寒岡)으로 스스로 지어 불렀다.
선생은 중종대왕 때 성주(星州)에서 태어나서, 성주에서 주로 지내셨다.
선생은 광해군 때 사헌부 대사헌을 지냈다. 한강은 중앙관직을 되도록 멀리하시고,
주로 지방관직을 스스로 맡아서 지방학문의 육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선생은 영의정으로 추증받았고, 문목(文穆)으로 시호를 받았다.
한강은 남명 조식선생과 퇴계 이황선생 사이를 오고가면서 학문을 익혔다.
선생의 학문과 인격 수양의 자세는 퇴계를 닮았고,
더 높은 기상은 남명의 모습 그대로이다라고 알려졌다.
서원의 근처에 있는 송담서원은 대암(大庵) 박성(朴惺)선생을 모시는 서원이다.
한강은 대암과 같은 시기에 서로 친분을 나누었다.
기호 예학이 사계(沙溪) 김장생에 의해 이루어졌듯이,
영남 예학은 한강에 의해 체계가 이루어졌다.
선생의 학문은 인조 대왕 때 산림 처사로 알려진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선생과
미수 허목을 거쳐 성호 이익의 실학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강문인록(寒岡門人錄)에는 문인이 모두 342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과거 합격자는 문인 전체의 3분의 1에 달하는 110인으로,
시호(諡號)가 밝혀진 문인도 9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도동 서원은 한강과 여헌의 문인을 중심으로 하는 영남 남인계
한려학파(寒旅學派)를 형성하였고, 대구 성주를 중심으로 하는
영남 중부지역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
'巨儒 자료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미수 허목 * (0) | 2011.04.03 |
---|---|
* 사계 김장생 * (0) | 2011.04.03 |
* 서애 유성룡 * (0) | 2011.04.03 |
* 동강 김우옹 * (0) | 2011.04.03 |
* 학봉 * 김성일 * (0) | 2011.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