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세채 [朴世采] * (1631(인조 9)-1695(숙종 21)).
자는 화숙(和叔), 호는 남계(南溪).현석(玄石), 본관은 반남.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소론의 영수로 당쟁의 근절을 위해 노력했고, 당대의 유종(儒宗)으로
특히 예학(禮學)에 밝았다.
아버지는 홍문관교리 의(?)이며, 어머니는 신흠(申欽)의 딸이다.
1649년(인조27) 진사가 되어 성균관에 들어갔다.
1650년(효종 1) 성균관 유생들이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을 문묘에 종사(從祀)할 것을
청했을 때, 영남의 유생유직(柳稷)이 반대 상소를 올리자 여러 유생들과 함께
유직의 상소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이에 대해 효종이 비답(批答)에서 박세채를 꾸짖자,
이것을 계기로 과거공부를 포기하고 은거하여 경학에만 전념할 뜻을 세웠다.
1651년 김상헌(金尙憲),김집(金集)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주로 성리학을 연구했고 송시열과도 교류했다.
1659년 천거로 익위사세마(翊衛司洗馬)가 되었다.
그해 5월 효종이 죽고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문제가 일어나자,
자의대비가 3년간 상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한 남인에 반대하고
송시열,송준길 등과 함께 1년간만 상복을 입어야 한다는 예경기년설(禮經朞年說)을
지지했다(→ 기해예송). 1674년 숙종이 즉위하고 남인이 집권하여 기년설을 주장한
서인들이 축출당할 때 삭탈관직당하고 양근,지평,원주,금곡 등지에서 6년간
유배생활을 했다.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집권하자다시 기용되어
집의,이조참의,대사헌,이조판서,우참찬 등을 지냈다.이무렵 서인들 가운데에는
훈척파(勳戚派)와 청의파(淸議派)라는 두 갈래의 흐름이 생겨 서로 반목했다.
이른바 노론,소론의 분쟁이 여기에서 시작되었는데,
훈척파는 김수항,민정중,김석주,민유중, 등 남인을 내쫓는 데 공이 많고
나이가 많은 고관들이었고, 청의파는 조지겸,오도일,박태보,박태유,한태동, 등
연소한 관료들로 남인들의 완전 제거와 훈척파의 전권(專權)을 반대한 사람들이었다
(→ 붕당정치). 1682년 김익훈,김석주가 남인을 밀고하여 옥사가 발생하자
청의파에서는 이를 무고라 하여 탄핵했다. 이때 송시열이 훈척파를 옹호하여
청의파와 관계가 멀어지게 되었다. 그는 양파의 대립을 조정하려는 입장에 있었으나,
1683년 송시열이 태조의 위화도회군을 존주대의(尊周大義)라 하여
시호를 높일 것을 주청한 것을 계기로 송시열과 완전히 결별하게 되었다.
이때 송시열,김석주,김익훈, 등을 추종하는 사람은 노론으로,
박세채,조지겸,한태동, 등을 따르는 사람은 소론으로 나누어졌다.
그는 윤증 등 소론계 학자들과 함께 학문교류 및 정치활동을 했다.
1689년 소의장씨(昭儀張氏)의 희빈 책봉문제로 남인이 재집권하자
모든 관직에서 물러나 야인생활을 했으나,
1694년 갑술옥사 이후 우의정,좌의정 등을 두루 거치면서
명실상부한 소론의 영수가 되었다.
-------------------------------------------------------
* 예학사상과 저술
박세채의 많은 저술 가운데 예학에 관한 저술은 학적 업적을 남긴 것으로
‘예학의 대가’라고 칭할만하다.
《남계선생예설 南溪先生禮說》,《육례의집(六禮疑輯)》 등은 예의 구체적
실천문제를 다룬 서술로서 과거에 보지 못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의식절차까지 문제삼고 있다.이러한 예학의 변용은 17세기 성리학의
예학적 전개라는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되며 예학의 구현이라는
오륜적 근거를 밝히는 학적 과제가 된다.
여말선초의 사상적 전환기에 제기되었던 불교의 멸륜성(滅倫性)을 극복하고
예에 의한 실천방법으로서 오륜은 매우 중요한 과제의 하나였다.
《가례 家禮》를 권장하고 《삼강행실도》,《국조의례》 등의 간행은
일종의 범국민적 규범원리로서 예의식을 광역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대비의 복(服)에 대하여 기년복?삼년복을 주장하거나 또는
대공(大功),기년이어야 한다는 이른바 예송(禮訟)은 파당적 대립의 성격을 띠기도
하였으나 문제는 대립의 성격이 예에 대한 기본문제를 검토하는 데 있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대립적 성격은 분명히 예학의 구현이라는
유학의 기본과제에 대한 새로운 검토이며 예학적 전개라는 차원이 이해된다.
그의 예학적 전개는 《육례의집》,《변례질문 變禮質問》 등에서 잘 나타나 있는데,
그의 견해는 역시 문인 김간의 《동방예설(東方禮說)》에 계승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정제두의 글에서 고례(古禮)를 존중하고 간례(簡禮)를 강조하면서 이이?성혼,과 더불어
박세채의 예설을 자주 인용하고 있는 것을 보면 그의 예설은
위의 학적 계통의 선상에서 정제두에게도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 저술로는 《범학전편 範學全編》,《시경요의 詩經要義》,《춘추보편》
,《남계독서기》,《대학보유변 大學補遺辨》,《심경요해 心經要解》
,《학법총설 學法總說》,《양명학변》,《남계수필록 南溪隨筆錄》,《심학지결》
,《신수자경편》,《육례의집》,《삼례의 三禮儀》,《사례변절 四禮變節》
,《가례요해 家禮要解》,《가례외편 家禮外編》,《남계예설 南溪禮說》
,《남계시무만언봉사 南溪時務萬言封事》,《남계연중강계 南溪筵中講啓》
,《남계기문 南溪記聞》,《동유사우록》,《주자대전습유(朱子大全拾遺)》
등이 있는데, 단행본으로 유포되고 있다.
시호는 문순(文純)이고 문묘(文廟)에 배향되었다.
'巨儒 자료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담 송환기 * (0) | 2011.04.03 |
---|---|
* 경호 이의조 * (0) | 2011.04.03 |
* 우암 송시열 * (0) | 2011.04.03 |
* 미수 허목 * (0) | 2011.04.03 |
* 사계 김장생 * (0) | 2011.04.03 |